삼성 디스플레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노트북 컴퓨터에서 "다크 모드"를 사용하면 디스플레이 전력 소비를 25 %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크모드 적용
다크 모드는 화면에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바탕을 어둡게 바꾸는 UI 디자인이다. 밝은 화면에 검은 글자 대신 어두운 화면에 흰 글자가 표현되는 기술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IT 사업에서 노트북의 배터리 실행 실태를 조사하는 데 기본적으로 활용되는 ‘모바일 마크 2018' 상황을 적용해 OLED 노트북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추정한 결과 기본 모드에서 9.9시간, 다크 모드에서 11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크 모드가 적용된 시점에서는 화면을 구성하는 절대픽셀 중 작동하는 픽셀 비율을 다루는 'OPR(On Pixel Ratio)'이 노트북 사용 시간을 약 60분 연장하면서 전력 활용도가 25% 줄어든 모습을 보여준다.
"픽셀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OLED는
픽셀을 끄는 방식으로 검은 색을 표현한다
이때는 일종의 암전 상태이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이어 "반면에 LCD는 검은색을 표현할 때도 백라이트는 항상 켜져 있다"며 "이로 인해 '트루 블랙'을 표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크 모드를 적용해도 소비전력이 떨어지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다크모드 지원
최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어도비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자사의 서비스에 다크 모드를 앞다퉈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달 28일에는 삼성전자가 윈도 설정에서 다크 모드를 기본 적용한 노트북 신제품 '갤럭시 북 프로'와 '갤럭시 북 프로 360'을 공개했다.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부터 13.3형부터 16형까지 노트북용 OLED 라인업을 10종 이상으로 확대, LCD 중심의 노트북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올해에는 비대면 및 고사양 수요 증가로 작년 대비 판매량이 5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에는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구글, 어도비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다크 모드 서비스를 강력하게 지원하고 있으며 삼성도 다크모드를 기본 적용한 갤럭시 북 프로 360이 출시되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