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k 미러리스 카메라의 경쟁의 시작

캐논 R5에 소니 A1의 도전장

캐논은 최근 EOS R5 카메라로 많은 이슈를 일으키며 성공을 거두었다. 캐논 R5의 핵심은 8k 촬영과 4k 120p였다. 소니는 작년 말 A7S3의 4k 120p로 반격하는 줄 알았으나, 이번에 8k 소니 A1을 발표했다. 그로 인해 8k 카메라 간의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소니 A1과 캐논 R5 카메라는 기능적 핵심기술이 비슷하기 때문에 어떤 카메라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해야될 것이다.

 

오늘은 이 두카메라의 대표적인 3가지 기능에 대해 비교해 보겠다.


영상 촬영에서 두 카메라

두 카메라 모두 이슈를 모으는 기술은 8k 영상 촬영이며, 현재 카메라 시장에 유일하게 이 기능을 제공하는 미러리스 카메라이다.

 

캐논 R5는 8k/30p 4:2:2 10비트 캐논 log 또는 4:2:2 10비트 HDR PQ의 레코딩을 지원한다. 4k 화질에서는 120p의 비디오 레코딩도 가능하다.

 

소니 A1은 8k/30p 8.6k 오버 샘플링으로 4:2:0 XAVC HS 레코딩을 지원하며 4k/120p 4:2:2 10비트 촬영을 지원한다.

 

8k/30p, 4k/60p 촬영을 할때 캐논 R5는 과열로 인해 20분 촬영만 가능하지만, 소니 A1은  30분 제한이 있지만 발열로 촬영이 멈추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소니 A1이 더 오래 촬영할 수 있다.

 

자동초점 AF 누가 누가 빠르나

소니 A1에는 이미지 영역의 약 92%를 차지하는 759개의 위상차 검출 포인트가 있다.

 

인간과 동물을 위한 향상된 Real-time Eye AF, 날아가는 새를 촬영하기 위한 Real-time Eye AF, 정확한 초점을 자동으로 유지하기 위한 실시간 추적 기능이 있다.

 

캐논 R5는 자동 AF 영역 선택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으로 최대 100% 커버가능한 5940개의 위상차 검출 포인트가 있는 듀얼 픽셀 CMOS AF를 사용한다. 

 

얼굴이나 눈을 감지하는 모드와 고양이, 개, 새를 인식 및 추적하고, 몸과 얼굴, 눈에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제공한다.

 

캐논 R5는 저조도에어서 AF 성능이 더 뛰어나다 소니 A1의 경우 -4EV인 반면 캐논 R5는 -6EV까지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손떨림 방지 IBIS 짐벌이 되고싶은 카메라

캐논 R5는 정말 엄청난 안정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특정 호화 렌즈와 함께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최대 8 스탑의 IS를 제공하는데, 렌즈를 제외한 카메라 내의 손떨림 보정 기능은 5 스탑을 보정해준다.

 

소니 A1의 안정화 기술도 이제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다. 괜찮은 5축 광학 손떨림 보정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최대 5.5스탑의 보정을 제공한다.

 

손떨림 보정기술은 두 카메라 모두 우수하다. 이제 이 정도 기술이면 짐벌에 올리기 전 미러리스 카메라가 다 비슷비슷하지만, 둘 중 한카메라를 고른 면, 가장 안정적인 손떨림 보정 IBIS 기술을 선보인 캐논 R5를 선택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특정 RF렌즈를 사용하면 최대 8 스탑까지 이미지를 보정해 주기 때문이다. 

 

 

 

캐논 EOS R6

캐논 EOS R6은 좋은 미러리스 카메라이다. 자동초점 AF 시스템은 놀라울 정도이며 초당 20 프레임으로 촬영하면서 임의의 방향의 피사체를 빠르게 추적한다. 4k 촬영에서 60p는 크롭하지 않고 연속

corenasai.tistory.com

 

 

4k 120p 촬영가능한 미러리스 카메라 추천

오늘은 4k 120p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포스팅하려 한다. 캐논 R5, 소니a7s3, 삼성의 S20과 같은 스마트폰까지 4k 120p가 가능한 카메라를들을 알아보자. 왜 우리는 높은 프레임의 카메라 바디를 찾고

corenasai.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